`엎질러진` 위성 DAB주파수…파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5 03:12
본문
Download : 200306.jpg
中國은 日本 내라면 몰라도 한반도까지 서비스 범위가 넓어지면 국경간 간섭과 전파조정의(定義) 이유를 들어 반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초기 소홀한 대응이 지금의 파국을 초래한 셈이다. 우선 日本 MBCo와 SK텔레콤이 공동 사용할 2630∼2655㎒ 대역 25㎒의 경우, 中國 政府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쳤다. 지난 97년 정통부가 日本 측의 발빠른 대응에 이의제기를 못한 게 근본적인 Cause 이다. 4개월 정도 이의를 제기할 수 있도록 공지했다.
당시 정통부가 왜 이의제기를 하지 않았을까. 당시의 정통부 관계자는 “97년에는 어느 누구도 위성DMB라는 새로운 서비스를 상상조차 못했을 뿐더러 국내 사업자도 전무했다”면서 “이의제기 기간이 4개월이라는 것도 몰랐다”고 말했다.
`엎질러진` 위성 DAB주파수…파장
설명
레포트 > 기타
`엎질러진` 위성 DAB주파수…파장
정통부는 SK텔레콤이 공동 사용할 25㎒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간주, 지난 2001년부터 부랴부랴 수습에 나섰다.
`엎질러진` 위성 DAB주파수…파장
日本 政府로서는 한국 때문에 주파수 사용이 힘들어질 수 있어 한국과의 공동 사용을 부정적으로 볼 수 있따





위성DMB 위성망궤도와 주파수 확보를 둘러싼 정통부의 미숙한 대응은 국가 자산인 주파수와 위성의 중요성을 간과한 직무유기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같은해 ITU는 WRC 회의를 통해 ‘아시아권에서 2630∼2655㎒ 대역의 25㎒만을 위성DAB용으로 쓴다’는 내용의 결의문을 채택했다. 같은해 7월초 ITU는 이 사실을 각국에 공표했다.
日本 政府가 한국과의 공동사용에 합의하더라도 자칫하면 MBCo의 지배권을 SK텔레콤이 넘겨받을 수 있는 상황에서 동일한 사용권을 용인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왜 이렇게 됐나=지난 97년 6월 30일 日本 은 ITU에 2630∼2655㎒ 대역의 25㎒를 위성DAB(디지털오디오방송)용으로 신청했다.
Download : 200306.jpg( 63 )
아울러 이번 WRC2003회의에서 政府가 한국만큼을 예외조항에 넣자는 주장도 현실성이 떨어지기는 마찬가지다.
◇주파수(위성망궤도) 확보는 가능한가=결론적으로 우리나라가 위성DMB용 주파수를 확보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특혜설에 휘말릴 수 있는 상황에서 당시 SK텔레콤에 힘을 실어준 것이나 위성DMB 기술표준을 日本 식의 ‘시스템E’로 성급하게 결정한 게 그렇다.
우리나라의 위성DMB 위성망궤도 확보는 사실상 어려운 상황에서 정통부가 극적인 반전을 이루지 못하는 한 과거의 실책과 주먹구구식 정책 대응에 대한 책임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정통부는 이같은 상황을 이미 2001년부터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번 WRC2003회의에서 정통부는 우리나라만 예외로 인정해 2605∼2655㎒ 대역의 50㎒를 위성DMB용으로 쓸 수 있도록 제안할 예정이지만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희박하다. 타국의 반대가 있을 경우 해당 국가의 신청은 무효화된다.
<서한기자 hseo@etnews.co.kr>
그러나 최인접국인 우리나라가 무려 4개월간이나 손을 놓고 있었다.
우리나라가 위성DMB용 전파자원을 원천적으로 보유할 수 없게 될 위기에 처했다.
그는 또 “이의제기와 위성망궤도 신청을 할 수 있었지만 ITU에서 요구하는 각종 의무이행 사항이 까다로워 당장 시급한 현안으로 여기지 않았던 게 사실”이라고 해명했다.
ITU는 물론 각국들도 지난 97년 25㎒만 위성DMB용도로 쓸 수 있도록 ITU가 결의문을 채택한 상황에서 한국만을 위해 추가 25㎒를 내어줄리 만무하기 때문일것이다 실제로 지난 99년 日本 이 120㎒ 위성망궤도를 추가 신청했지만 곧 반려됐고 잇따라 동일 대역을 신청한 6개국도 유사한 실정이다.
순서
다. 다급해진 정통부는 SK텔레콤을 통해 실수를 만회하려 하나, 위성DMB용 25㎓ 대역은 이미 日本 에 원천봉쇄됐다. `엎질러진` 위성 DAB주파수…파장
日本 政府와 MBCo는 각국을 상대로 전파혼선 조정작업에 착수, 지금까지 조정작업중이다. 아직 ITU 최종등록을 받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