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체육 - 농구 KBA&KBL의 차이점과 경기 규칙, 소감 포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22:03
본문
Download : 사회체육 - 농구 KBA&KBL의 차.hwp
-드로 인에 있어서, 심판이 드로 인 할 선수에게 볼을 핸딩했을 때.
-모든 경기의 program에 먼저 기재된 팀(홈 팀)이 코트를 향하여 기록석의 왼쪽 벤치와 바스켓을 자기 팀 바스켓으로 정함. (양 팀의 합의하에 벤치, 혹은 바스켓을 서로 바꿀 수도 있다아)
-필드 골 또는 프리 드로 성공되었을 때.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경기시간, 동점과 연장전 -경기는 10분 4피리어드로 진행. (국내 중학교 경기는 8분 4피리어드) -경기개시 예정시간 전, 적어도 20분 준비시간 있어야 함. -1,2피리어드 사이(전반전)와 3,4피리어드 사이(후반전) & 연장전 시작 전 휴식기간 2분 -하프 타임 휴식기간 15분. -경기 휴식기간 시작 때 ①경기개시 예정시간 20분전 ②경기시계가 각 피리어드 종료신호 울릴 때.
-1피리어드,3피리어드의 개시 전, 팀들은 상대 팀의 바스켓의 하프코트에서 웜 업 가능.
-경기 휴식기간 처음 때 ①경기개시 예정시간 20분전 ②경기시계가 각 피리어드 종료신호 울릴 때.
사회체육,농구 KBA,KBL의 차이점과 경기 규칙
-득점을 위해 슛한 볼이 공중에 있는 동안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어느 팀의 선수든지 볼을 터치했을 때 : ①심판이 호각을 분 후 ②피리어드의 경기시간이 끝나는 신호가 울린 후 ③24초시계의 신호가 울린 후.
-한 팀이 볼을 컨트롤하고 있는 동안 24초시계의 신호가 울렸을 때.
Download : 사회체육 - 농구 KBA&KBL의 차.hwp( 82 )
볼의 상태 (볼은 다음과 같이 라이브, 혹은 데드가 될 수 있음)
-볼이 라이브 중에 심판이 호각을 불 때.
순서
경기시간, 동점과 연장전
경기 또는 피리어드 스타트과 종료
-각 피리어드의 경기시간이 끝나는 신호가 울렸을 때.
-피리어드, 연장전과 경기는 경기시간의 끝남을 알리는 경기시계의 신호로서 끝남.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프리 드로한 볼이 바스켓에 들어가지 않을 것이 확실할 때.
-1피리어드는 경기개시의 점프 볼에서 토스된 볼이 주심의 손에서 떠났을 때 스타트.
-또 다른 프리 드로가 남아 있을 때.
사회체육 - 농구 KBA&KBL의 차이점과 경기 규칙, 소감 포함
-하프 타임 휴식기간 15분.
-경기개시 예정시간 전, 적어도 20분 준비시간 있어야 함.
설명
-점프 볼에 있어, 주심이 토스한 볼이 주심의 손을 떠났을 때.
~데드~
-팀들은 후반전에 바스켓을 서로 바꿈.
-한 팀에 5명의 선수가 경기 준비 되어 있지 않으면, 경기 스타트 불가능.
-모든 연장전에서 각 팀은 4피리어드와 같은 방향의 바스켓을 향해 플레이를 계속 해야 함.
-경기는 10분 4피리어드로 진행. (국내 중학교 경기는 8분 4피리어드)
-1,2피리어드 사이(전반전)와 3,4피리어드 사이(후반전) & 연장전 처음 전 휴식기간 2분
-다른 모든 피리어드들은 드로 인 할 선수에게 볼이 핸딩되었을 때 스타트.
-또 다른 벌칙이 남아 있을 때. (프리 드로 또는 볼의 소유권)





~라이브~
-프리 드로에 있어, 심판이 프리 드로 할 선수에게 볼을 핸딩했을 때.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