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병기론과 한글전용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9 21:45
본문
Download : 한자병기론과 한글전용론.hwp
국어발표1
순서
1966년 다시 한자 교육을 강조하는 교시를 내린 데 이어 1970년에는 각급 학교에서 가르칠 구체적인 글자 수를 지정하는 3번째 교시를 내릴 정도로 강조하였다. 그러므로 이에 대해 토론을 해보고, 한자병기와 한글전용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 한자병기론·한글전용론과 한자교육
한자병기론자들이나 한글전용론자들이나 모두들 한자교육에 관해서는 necessity 을 인정하고 있다…(skip)
역사적으로 우리 나라의 문자 생활은 한자와 한글, 두 개의 문자를 사용해 온 특수한 상황이다. 광호는 북한에서는 어떤 과목을 배웠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혁명1·2, 음악, 한문 등을 배웠다면서 어떤 신문에서 내 이름의 집 호(戶)자를 호경 호(鎬)자로 잘못 썼다는 이야기까지 했다.
김정일은 통일에 대비해 남조선이 쓰는 문자를 알아야 한다고 이유를 댔지만 속셈은 다른 곳에 있었다. 그가 한자교육을 처음 지시한 60년대 중-후반은 북한이 Japan, china과의 무역에 눈을 돌린 때였고, 3번째 교시를 내린 70년은 우리(남한)가 한자교육을 포기한 해였다.






한자병기론과 한글전용론
설명
다. 그들은 한자를 모르고선 Japan 내 자본, china기업, 동남아 화교 돈을 끌어들이기 이만저만 힘들지 않다는 것을 안 것이다. 광복 이후 문자 생활을 한글 전용의 방향으로 해 오긴 했지만, 지금도 한자병기와 한글전용에 관한 논쟁이 일각에서 계속되고 있다. 북한 초등생의 한자실력은 87년 ‘따뜻한 남쪽나라’를 찾아 북한을 탈출한 김만철씨 일가의 막내 광호(당시 초등 5년에 해당)가 보여주었다. 요즘 하는 말로 국제화-개방화를 위해서였다. 광복 이후 문자 생활을 한글 전용의 방향으로 해 오긴 했지만, 지금도 한자병기와 한글전용에 관한 논쟁이 일각에서 계속되고 있따 그러므로 이에 대해 토론을 해보고, 한자병기와 한글전용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국어발표1 , 한자병기론과 한글전용론사범교육레포트 ,
,사범교육,레포트
Download : 한자병기론과 한글전용론.hwp( 54 )
레포트/사범교육
역사적으로 우리 나라의 문자 생활은 한자와 한글, 두 개의 문자를 사용해 온 특수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