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pan만화, 어떻게 읽을 것인가-그들의 文化에서 우리의 文化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1 00:07
본문
Download : 일본만화, 어떻게 읽을 것인가-그들의 문화에서 우리의 문화로-.hwp
그림이라는 점에서 영상매체의 특징을 지니며, 출판된 간행물이라는 점에서 인쇄매체의 특징을 지닌다(김승민, 1989). 인쇄매체는 크게 부호매체와 조형매체로 분류할 수 있는데, 조형매체는 視知覺을 통하여 전환의 과정 없이 직접 인식된다는 점에서 활자매체보다 신속하고 용이하다.
만화는 간결한 선과 생략(省略)된 형태로 메시지를 명확하고 일목요연하게 전달해주는 시각언어이다. 따라서, 만화는 점차 시각화·영상화되어 가는 현대사회의 추세에 따라 TV·영화에 밀리고 있는 인쇄매체…(생략(省略))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다. 만화는 영화나 회화의 영상능력에 글의 친숙함을 더해 폭넓은 가능성과 자유로움을 제공한다.
Japan만화, 어떻게 읽을 것인가-그들의 文化에서 우리의 文化로-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일본만화, 어떻게 읽을 것인가-그들의 문화에서 우리의 문화로-.hwp( 79 )
Japan만화,어떻게읽을것인가
일본만화,어떻게읽을것인가 , 일본만화, 어떻게 읽을 것인가-그들의 문화에서 우리의 문화로-인문사회레포트 ,






I. 들어가는 글
II. 펼치는 글
1. 만화의 매체적 特性
2. 한국에서의 日本(일본)만화
3. 日本(일본)만화에 관한 세 가지 담론
4. 보호론⒜: 폭력성·선정성에 대한 강효율론적 입장
5. 보호론⒝: 文化(문화)(미디어)제국주의 시각
6. 산업론
7. 대중文化(문화)론
III. 나오는 글
II. 펼치는 글
1. 만화의 매체적 特性
`만화에 관한 만화책`인 매클루드(1995)의 『만화의 이해』는 만화를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인 reaction 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이라고 definition 한다. 또한, 만화에서 칸 사이의 공간을 `빗물을 받는 홈통`이라 부르면서 `칸 안의 마술보다 더 재미있는 게 칸 사이에 생기는 연상(closure)의 힘`이라고 주장한다. 이처럼 칸과 칸 사이에서 작용하는 독자들의 무한한 상상력은 만화만이 가질 수 있는 강점이다.